2025년에 새롭게 도입된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란 정부에서 지원하고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적금지원 상품입니다. 만 19세 이상에서 만 34세 이하의 청년에 해당하신다면 높은 금리와 정부지원금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를 놓치지 않고 개설하는 것이 좋습니다. 다만 1인 1 계좌만 개설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설할 은행을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.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선택하시는 은행별로 다르기 때문에 금리 비교 잘 확인하여 은행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: https://ylaccount.kinfa.or.kr/yltInit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비교
청년도약계좌 은행사별로 금리를 비교하여 알아보겠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은행은 NH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IBK기업, KB국민, iM뱅크(구 대구은행), BNK부산, 광주, 전북은행, BNK경남은행입니다. 금리는 세가지로 나뉩니다. 기본금리, 그리고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소득+우대금리, 그리고 은행사별로 조건이 다른 우대금리 입니다. 이렇게 세 가지 금리를 합하여 최종 지급됩니다. 모든 은행에서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고 이후에는 변동금리로 적용됩니다. 자세한 금리 조건에 대해서는 개별 은행 홈페이지 또는 어플에서 확인가능합니다.
NH농협은행
- 기본금리: 4.5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00%
신한은행
- 기본금리: 4.5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00%
우리은행
- 기본금리: 4.5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00%
하나은행
- 기본금리: 4.5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00%
IBK기업은행
- 기본금리: 4.5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00%
KB국민은행
- 기본금리: 4.5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00%
iM뱅크(구 대구은행)
- 기본금리: 4.0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50%
BNK부산은행
- 기본금리: 4.0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50%
광주은행
- 기본금리: 3.8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70%
전북은행
- 기본금리: 3.8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70%
BNK경남은행
- 기본금리: 4.00%
- 소득 + 우대금리: 0.50%
- 우대금리: 최대 1.50%
청년도약계좌 가입 심사과정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가입 신청을 받고있으며 신청 후 약 2주 동안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심사 과정을 갖습니다. 가입 요건이 확인된 이후에 다음 달 초에 계좌가 개설되면 취급은행 앱을 통해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. 금리도 높은 수준이고 월 70만 원까지 자유 적립식이기 때문에 크게 부담을 느낄 필요가 없는 이번 2025 청년도약계좌 꼭 개설하셔서 나라에서 제공하는 혜택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.